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 확대 – 구매보조금 및 충전시설 지원 강화

by 올리버대디 2025. 3. 19.
반응형

전기이륜차

 

 

전기이륜차 보급 목표 및 보조금 지원 계획

 환경부는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 전기이륜차 2만 대 보급을 목표로 총 160억 원의 구매보조금을 지급하며,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500기 설치를 위해 50억 원을 추가 지원할 예정이다.

 전기이륜차는 배달업 증가와 함께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대기오염 저감과 도심지 소음 감소 등 환경적 이점을 제공한다. 이에 정부는 보조금 정책을 통해 성능이 우수한 차량이 시장에 보급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충전 속도가 개선된 차량과 배터리 상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차량에 대해 최대 10만 원의 추가 보조금을 지급한다. 이를 통해 전기이륜차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충전 인프라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전기이륜차 보조금 정책 주요 변경 사항

 환경부가 발표한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보조금 업무처리지침’ 및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설치 보조사업 운영지침’의 주요 개정 내용을 살펴보자.

1.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표준화 유도

 기존에는 제작사별로 다른 배터리팩을 적용해 특정 충전시설에서만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2023년 국가표준(KS표준)이 제정된 이후에도 여전히 표준화되지 않은 충전시설이 존재했다.

 올해부터는 국가표준을 따르지 않는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에는 설치비용을 지원하지 않도록 변경해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줄이고, 배터리 로밍(상호 교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2. 배터리 교환형 전기이륜차 지원 확대

 배터리 교환형 전기이륜차는 차량 가격에서 배터리 가격이 제외되기 때문에 기존에는 성능에 따라 산정된 보조금의 60%만 지급되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보조금 지급 비율을 70%로 상향 조정해 지원을 확대한다.

 이는 교환형 배터리는 용량을 크게 만들기 어려운 특성이 있어 기존 보조금 산정 방식이 불리하게 작용한다는 업계 의견을 반영한 조치다.

 

3. 충전 속도가 빠른 차량 및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우대

 전기이륜차의 충전 속도는 이용자의 가장 큰 불만 요소 중 하나였다. 이에 따라 충전 속도를 개선한 차량에 대해 보조금을 추가 지원하며, 배터리 상태 정보를 차량 디스플레이나 모바일 앱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차량에도 추가 보조금을 지급한다.

 이러한 지원책을 통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보다 효율적인 전기이륜차 운행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4. 보조금 산정 방식 개선 – 고정값 활용

기존에는 연비 및 등판계수를 변동값으로 설정해 매년 보급 대상 차량의 평균 성능에 따라 달라졌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이 값을 고정값으로 변경해 업계가 보조금 규모를 예측하고 안정적인 기술 개발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이 장기적인 기술 투자 계획을 세우기 쉬워지고, 지속적인 성능 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전기이륜차 보급 확대 기대 효과

 전기이륜차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배달업계에서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보급 확대 정책은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도심지 대기질 개선: 내연기관 오토바이보다 전기이륜차는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도시 내 공기 질 개선에 기여한다.
  • 생활소음 저감: 기존 오토바이보다 소음이 현저히 적어 도심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된다.
  • 배터리 교환형 인프라 활성화: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표준화 및 확대 지원을 통해 전기이륜차 이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한다.
  • 전기이륜차 성능 향상: 보조금 정책을 통해 충전 속도 개선 및 배터리 상태 확인 기능이 강화된 차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이륜차 지원사업 신청 방법

이번에 확정된 전기이륜차 보조금 및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지원 지침은 3월 17일부터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ev.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기이륜차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보급사업은 지역별 무공해차 전환 브랜드 사업 공모 지침에 따라 진행되며, 4월 중 공모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마무리 – 친환경 전기이륜차 보급 확대에 주목

환경부는 이번 정책을 통해 전기이륜차의 보급을 늘리고, 충전 인프라를 확충하며, 성능이 우수한 차량을 시장에 공급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오일영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도심지 대기질 개선과 생활소음 저감에 강점이 있는 전기이륜차 시장은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며 "업계의 기술혁신을 이끌고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지원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기이륜차는 미래 친환경 모빌리티 시장의 중요한 축이 될 것으로 보이며,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시장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