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 전망 – 2025년 이후 충분한 공급 예상

by 올리버대디 2025. 3. 19.
반응형

서울아파트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 예년보다 많을 전망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5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4만 7천 호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05년부터 통계를 집계한 이래 네 번째로 많은 수준으로, 예년과 비교해도 높은 수치다.

 특히, 2025년부터 2026년까지 2년간 서울의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총 7만 1천 호로, 지난 2년간 입주한 물량보다 많을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서울의 아파트 입주 물량은 충분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2025~2026년 주요 아파트 입주 단지

서울에서 2025~2026년에 입주 예정인 아파트 중 눈에 띄는 단지는 다음과 같다.

  • 이문 아이파크 자이 (4,334호)
  • 잠원 메이플 자이 (3,307호)
  • 디에이치 방배 (3,064호)
  •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2,678호)
  •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 (2,091호)

이들 정비사업 단지만 해도 4만 5천 호에 달하며, 이는 최근 10년간 평균(2만 호/년)의 두 배 이상이다.

또한,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지역에서는 청담 르엘(1,261호), 잠실 르엘(1,261호), 방배 래미안 원페를라(1,097호) 등 총 2만 호가 입주할 예정이다. 강남 3구의 연평균 입주 물량(0.9만 호/년)과 비교하면 상당한 증가세다.

 

정부의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 전략

서울 및 수도권에서의 원활한 주택 공급을 위해 정부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1. 신축매입 방식 확대

 정부는 수도권의 입주물량 감소 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해 신축매입 물량을 11만 호로 확대했다. 신축매입은 민간 건설사가 주택을 건설하면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이를 매입해 임대하거나, 임대 후 분양 전환하는 방식이다.

 특히, 11만 호 중 80%가 수도권 선호 지역(역세권 등)에 공급될 예정이며,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입주가 시작된다. 이 물량은 현재 부동산원이나 서울시의 입주 예정 물량 통계에 포함되지 않아, 실제 수도권 입주 물량은 공식 발표치보다 많을 것으로 보인다.

 

 

2. 입주 시점 단축을 위한 조치

 정부는 입주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와 행정절차 간소화를 추진 중이다.

  • 조기 착공 인센티브 제공
  • 행정절차 단축
  • 입주자 모집공고 조기 시행 (기존 준공 후 모집 → 착공 직후 모집 가능)

 이를 통해 실질적인 주택 공급 효과를 앞당길 계획이다.

 

2027년 이후 서울 및 수도권 주택 공급 전망

2027년부터는 공급 물량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1. 3기 신도시 및 수도권 중소택지 개발
    • 연평균 4만 7천 호 이상의 공공주택 공급
    • 민영주택도 본격적으로 입주 시작
  2. 서울 내 신규 입주 물량 증가
    • 2027년 서울에서만 2만 3천 호 이상의 정비사업 단지 입주 예정
    • 상한 용적률 완화*(2종 200%→250%, 3종 250%→300%)로 추가 공급 가능
    • 비정비사업 지역에서도 주택 공급 증가 예상
  3. 정비사업 규제 완화로 주택 공급 기반 확대
    • 서울 정비구역 지정: 2019~2021년 연평균 0.6만 호 → 2023년 3.4만 호, 2024년 2.9만 호
    • 서울 재건축 진단 통과 단지: 2019~2022년 연평균 2곳 → 2023년 71곳, 2024년 33곳

정비사업 규제가 대폭 완화되면서 향후 서울 도심 내 신규 아파트 공급이 원활해질 것으로 보인다.

 

결론 – 서울 아파트 공급, 충분할까?

 국토부는 "2025년 이후에도 서울 및 수도권의 주택 공급은 충분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2025~2026년 사이 7만 1천 호가 입주하며, 중장기적으로는 3기 신도시 및 정비사업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주택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신축매입 주택과 정비사업 규제 완화 정책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면, 서울 및 수도권 내 주택 공급 부족 우려는 다소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과 (044-201-33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