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FAO 세계식량가격지수, 3월에 소폭 상승! 앞으로의 흐름은?

by 올리버대디 2025. 4. 6.
반응형

세계식량가격지수

 

안녕하세요. 오늘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서 발표한 2025년 3월 세계식량가격지수 동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식량 가격은 우리 일상생활과 직결된 만큼, 세계적인 흐름을 알고 있는 것도 큰 도움이 되겠죠?

✅ 3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 대비 0.2% 상승

2025년 3월 FAO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7.1포인트를 기록하며, 전월(126.8포인트) 대비 0.2% 상승했습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 곡물: -2.6% 하락
  • 설탕: -1.4% 하락
  • 유지류: +3.7% 상승
  • 육류: +0.9% 상승
  • 유제품: 변동 없음 (0.0%)

📉 곡물·설탕 가격은 하락

곡물 가격은 주요 수출국들의 작황 우려 해소, 수확 시작, 수요 약화 등으로 인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설탕은 브라질의 가뭄 해소와 수요 감소로 인한 하락이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 유지류·육류 가격 상승

팜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등 주요 유지류 가격이 상승하면서 전체 유지류 지수도 크게 올랐고, 육류는 부활절 수요 및 돼지고기 가격 상승 등의 이유로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 유제품 가격은 보합세

치즈 가격은 하락했지만, 버터와 분유 가격이 오르며 전체 유제품 가격은 전월과 동일했습니다.

🌾 FAO의 2024/25년도 세계 곡물수급 전망

  • 생산량: 전년 대비 0.3% 감소
  • 소비량: 전년 대비 1.0% 증가
  • 기말재고: 전년 대비 1.5% 감소

즉, 소비는 늘고 생산과 재고는 줄어드는 흐름이 예상되고 있어, 향후 가격 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 국내 상황은?

국내 농축산물 소비자물가는 3월 기준 0.4% 상승에 그치며, 8개월 연속 2.5% 이하의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주요 농산물 및 식품 원자재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대형마트·전통시장 할인행사를 지속하여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중입니다.


✍️ 마무리

세계 식량 가격은 단순한 경제 지표가 아니라 우리의 식탁과도 직결된 중요한 정보입니다. 앞으로 FAO의 발표를 계속 주목하면서, 국내 정책과 연계된 흐름도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