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서 발표한 2025년 3월 세계식량가격지수 동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식량 가격은 우리 일상생활과 직결된 만큼, 세계적인 흐름을 알고 있는 것도 큰 도움이 되겠죠?
✅ 3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 대비 0.2% 상승
2025년 3월 FAO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7.1포인트를 기록하며, 전월(126.8포인트) 대비 0.2% 상승했습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 곡물: -2.6% 하락
- 설탕: -1.4% 하락
- 유지류: +3.7% 상승
- 육류: +0.9% 상승
- 유제품: 변동 없음 (0.0%)
📉 곡물·설탕 가격은 하락
곡물 가격은 주요 수출국들의 작황 우려 해소, 수확 시작, 수요 약화 등으로 인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설탕은 브라질의 가뭄 해소와 수요 감소로 인한 하락이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 유지류·육류 가격 상승
팜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등 주요 유지류 가격이 상승하면서 전체 유지류 지수도 크게 올랐고, 육류는 부활절 수요 및 돼지고기 가격 상승 등의 이유로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 유제품 가격은 보합세
치즈 가격은 하락했지만, 버터와 분유 가격이 오르며 전체 유제품 가격은 전월과 동일했습니다.
🌾 FAO의 2024/25년도 세계 곡물수급 전망
- 생산량: 전년 대비 0.3% 감소
- 소비량: 전년 대비 1.0% 증가
- 기말재고: 전년 대비 1.5% 감소
즉, 소비는 늘고 생산과 재고는 줄어드는 흐름이 예상되고 있어, 향후 가격 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 국내 상황은?
국내 농축산물 소비자물가는 3월 기준 0.4% 상승에 그치며, 8개월 연속 2.5% 이하의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주요 농산물 및 식품 원자재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대형마트·전통시장 할인행사를 지속하여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중입니다.
✍️ 마무리
세계 식량 가격은 단순한 경제 지표가 아니라 우리의 식탁과도 직결된 중요한 정보입니다. 앞으로 FAO의 발표를 계속 주목하면서, 국내 정책과 연계된 흐름도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책 변화] 2025년부터 '12세 이하 2자녀' 가정도 아이돌봄 서비스 우선 제공 대상! (0) | 2025.04.06 |
---|---|
스킬 이코노미 시대, 생존을 위한 기술 전략은? (KB경영연구소) (0) | 2025.04.06 |
청년 주택드림 대출! 2030을 위한 내 집 마련 찬스 (0) | 2025.04.05 |
5세대 실손보험 연말 출시…보험료 30~50% 인하 및 중증 보장 강화 (0) | 2025.04.03 |
청년 전기차 지원 확대! 생애 첫 차 구매 시 보조금 20% 추가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