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2025 바이오헬스 투자 핫이슈] K-바이오헬스 지역센터 지원사업, 주관기관 6곳 신규 선정!

by 올리버대디 2025. 4. 15.
반응형

K-바이오헬스

 

 

 

한국 보건산업의 미래를 선도할 K-바이오헬스 지역센터 지원사업이 2025년 새롭게 도약합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4월 15일 발표한 6개 주관기관 선정 소식, 창업 생태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요?


🔍 K-바이오헬스 지역센터 지원사업이란?

K-바이오헬스 지역센터 지원사업은 지역 거점형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를 육성하고 병원과 연계하여 창업기업을 지원하는 정부사업입니다. 2022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2025년부터 2단계에 돌입하며 더욱 전략적으로 진화합니다.


🧭 2기 사업의 주요 변화

구분 1기 (2022~2024) 2기 (2025~2027)

주관기관 대학, 병원, 클러스터 등 다양 지역 클러스터 운영기관으로 한정
병원 연계 선택 사항 필수 컨소시엄 구성
주요 기능 창업기업 지원 창업지원 + 지역거점 클러스터 역할 강화

📌 핵심 포인트: 2기부터는 병원과의 연계가 필수! 실질적인 창업 지원과 임상 실증 지원이 강화됩니다.


🏥 선정된 6개 주관기관과 특징

기관명 지역 참여 병원 주요 특징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경남 양산부산대병원 등 부울경 연계 클러스터 구축
대전테크노파크 대전 충남대병원 등 유니콘 기업 육성 기반 플랫폼 보유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강원 연세대 원주세브란스 의료기기 창업 집중 지원
전남바이오진흥원 전남 화순전남대병원 등 감염병 백신, 재생의학 중심 협력
전북경제통상진흥원 전북 전북대병원, 원광대병원 동물용의약품, 한방산업 연계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충북 충북대병원 오송바이오밸리와 연계한 신약개발 지원

🚀 기대 효과: 창업기업 성장 + 시장 진입 가속화

이 사업을 통해 창업기업들은 아래와 같은 실질적 혜택을 얻게 됩니다.

  • 병원 기반 임상데이터 확보
  • 장비·공간 인프라 지원
  • 기술 실증 및 사업화 연계
  • 네트워킹 및 지역 협업 생태계 참여

특히, 지역 인프라와 병원 자원을 연계한 창업 지원은 초기 기업들에게 단비 같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 전문가 한마디

“바이오헬스 산업의 특성상 클러스터 중심 협업이 중요하다. 지역별 병원과 창업기업이 연계되면 혁신 속도와 사업화 성공률이 동시에 향상될 것이다.”
—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


🔖 마무리: 지금이 K-바이오헬스에 주목할 때

정부 주도 아래 지역별 창업 생태계가 구체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바이오, 의료기기, 헬스케어 분야 창업 준비 중이라면 이 사업 흐름을 놓치지 마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