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 [2025 산업정책 이슈] 첨단소재부터 이차전지까지… 2033년까지 4,635억 원 투입된다

by 올리버대디 2025. 4. 25.
반응형

미래도시

 

 

기술력이 곧 경쟁력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월드클래스 플러스 프로젝트'**의 2025년 신규 R&D 과제를 수행할
10개 중견기업을 최종 선정하고, 기업당 평균 40억 원의 국비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사업은 단순한 연구개발 지원을 넘어,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기술 혁신, 수출 확대,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성장 프로젝트입니다.


📊 ‘월드클래스 플러스 프로젝트’ 요약 정리

구분 내용

🏢 주관 부처 산업통상자원부
🛠️ 사업명 월드클래스 플러스 프로젝트 지원사업
📆 추진 기간 2021년 ~ 2033년
💰 전체 예산 총 국비 4,635억 원
🏭 지원 대상 성장 의지와 잠재력 있는 중견기업
📌 2025년 선정 10개 기업
💸 과제별 지원 규모 평균 40억 원, 3~4년 간 지원

🧠 사업의 핵심 목표

“내수에 머무르지 말고, 세계시장으로 진출하라!”

'월드클래스 플러스 프로젝트'는 단순히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것을 넘어서
중견기업을 글로벌 강소기업, 세계시장 중심의 기술 챔피언으로 육성하기 위한 핵심 전략입니다.


🔍 이번에 선정된 R&D 분야는?

분야 주요 내용

🔋 미래모빌리티 자율주행, 전동화 기술 등
🏭 첨단제조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공정 혁신
⚡ 에너지신산업 재생에너지, 수소, 탄소저감 기술
🧪 핵심소재 반도체, 디스플레이, 첨단소재
🔋 이차전지 배터리 성능 향상 및 소재 국산화

 

 

🎯 왜 ‘중견기업’인가?

  • 중소기업은 작고 유연하지만 한계가 있고,
  • 대기업은 크지만 변화에 둔감할 수 있는 구조.

그 중간에서 혁신과 안정성 모두를 갖춘 중견기업
글로벌 경쟁력의 허리 역할을 합니다.

📌 지금까지 366개 기업이 월드클래스 기업으로 선정,
다수는 수출 강소기업으로 성장 중입니다.


📈 정부의 지원 내용

🧪 R&D (기술개발)

  • 과제당 평균 40억 원, 3~4년간 국비 지원
  • 신제품·신공정 개발 중심

💼 비R&D (성장환경)

  • 수출 컨설팅
  • 금융·법률 지원
  • 지재권 보호
  • 브랜드 전략 수립 등 맞춤형 패키지 지원

💬 정부 입장

“기술혁신 없이는 글로벌 경쟁도 없다.”
– 오승철 산업기반실장 (산업통상자원부)

정부는 **기술기반 성장을 통한 ‘월드클래스 기업 육성’**이
대한민국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전략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마무리 한마디
‘월드클래스 플러스 프로젝트’는 단순한 지원사업이 아닙니다.
기술을 무기로 세계 무대에 도전할 기업을 발굴하고, 글로벌 무대에서 K-산업의 이름을 알리는 시작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