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 고용보험 전면 개편! ‘소득 기준’으로 바뀐다

by 올리버대디 2025. 7. 7.
반응형

 

 

30년 만에 고용보험의 적용기준이 확 바뀝니다.
이제는 주 15시간 이상이 아닌 ‘소득’ 기준으로 고용보험에 가입하게 됩니다.
취약근로자 보호 강화행정 간소화가 핵심입니다.


 

🔍 핵심 요약

  • 고용보험 적용기준: 주 15시간 → 소득 기준으로 개편
  • 행정편의 개선: 국세청 신고로 고용보험 가입 여부 확인 가능
  • 보호대상 확대: N잡, 파트타임, 단기·저소득 근로자 등
  • 급여 산정기준 일원화: ‘평균임금’ → ‘보수’로 일치

🔄 무엇이 어떻게 바뀌나요?

항목 기존 기준 개편 후 기준

가입기준 주 15시간 이상 근로 소득 기준(보수 기준) 적용
징수기준 전년도 월평균 보수 당해 연도 실 보수 기준
급여 산정 기준 ‘평균임금’ (이직 전 3개월) 보수 (이직 전 1년 평균)
이중신고 부담 국세청+공단 따로 신고 국세청 신고만으로 자동 적용
직권가입 근거 소정근로시간 조사 필요 국세청 소득자료로 바로 확인

🧾 왜 ‘소득 기준’이 필요한가요?

  • 📈 노동시장 다변화: N잡러, 단기근로자, 시간제 노동자 증가
  • 15시간 기준 미적용 근로자 누락
  • 🔍 실시간 소득 자료 활용: 국세청과 연계로 직권가입 가능

특히, 복수 일자리 소득을 합산해도 기준을 넘기면 고용보험 가입 가능!


💸 고용주에게 생기는 변화는?

보수 신고 의무 간소화

  • 더는 근로복지공단에 따로 신고하지 않아도 됩니다.
  • 국세청에만 소득 신고하면 고용·산재보험료 자동 부과됩니다.

보험료 정산 편의성 향상

  • 실시간 소득 기준으로 보험료 납부 →
    다음 해 정산 부담 줄어듭니다.

 

 

💰 구직급여도 바뀝니다

  • 기존: '평균임금' 기준 → 이직 전 3개월 소득만 반영
  • 변경: '보수' 기준 → 이직 전 1년 평균 보수 반영
  • 장점: 급여 산정 단순화 + 지급 속도 향상

✅ 육아휴직급여·단축급여 등도 점진적으로 보수 기준으로 통일


📌 기대 효과는?

  • ✅ 고용보험 사각지대 축소
  • ✅ 저소득·단기근로자 보호 강화
  • ✅ 기업의 행정부담 경감
  • ✅ 실시간 소득정보 기반 일자리 지원 가능

📅 이후 일정은?

구분 일정

입법예고 ~ 2025년 8월 중순까지
국회 제출 2025년 10월 예정
제도시행 목표 2026년 이후 순차 적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