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0년 만에 고용보험의 적용기준이 확 바뀝니다.
이제는 주 15시간 이상이 아닌 ‘소득’ 기준으로 고용보험에 가입하게 됩니다.
취약근로자 보호 강화와 행정 간소화가 핵심입니다.
🔍 핵심 요약
- 고용보험 적용기준: 주 15시간 → 소득 기준으로 개편
- 행정편의 개선: 국세청 신고로 고용보험 가입 여부 확인 가능
- 보호대상 확대: N잡, 파트타임, 단기·저소득 근로자 등
- 급여 산정기준 일원화: ‘평균임금’ → ‘보수’로 일치
🔄 무엇이 어떻게 바뀌나요?
항목 기존 기준 개편 후 기준
가입기준 | 주 15시간 이상 근로 | 소득 기준(보수 기준) 적용 |
징수기준 | 전년도 월평균 보수 | 당해 연도 실 보수 기준 |
급여 산정 기준 | ‘평균임금’ (이직 전 3개월) | 보수 (이직 전 1년 평균) |
이중신고 부담 | 국세청+공단 따로 신고 | 국세청 신고만으로 자동 적용 |
직권가입 근거 | 소정근로시간 조사 필요 | 국세청 소득자료로 바로 확인 |
🧾 왜 ‘소득 기준’이 필요한가요?
- 📈 노동시장 다변화: N잡러, 단기근로자, 시간제 노동자 증가
- ❌ 15시간 기준 미적용 근로자 누락
- 🔍 실시간 소득 자료 활용: 국세청과 연계로 직권가입 가능
특히, 복수 일자리 소득을 합산해도 기준을 넘기면 고용보험 가입 가능!
💸 고용주에게 생기는 변화는?
✅ 보수 신고 의무 간소화
- 더는 근로복지공단에 따로 신고하지 않아도 됩니다.
- 국세청에만 소득 신고하면 고용·산재보험료 자동 부과됩니다.
✅ 보험료 정산 편의성 향상
- 실시간 소득 기준으로 보험료 납부 →
다음 해 정산 부담 줄어듭니다.
💰 구직급여도 바뀝니다
- 기존: '평균임금' 기준 → 이직 전 3개월 소득만 반영
- 변경: '보수' 기준 → 이직 전 1년 평균 보수 반영
- 장점: 급여 산정 단순화 + 지급 속도 향상
✅ 육아휴직급여·단축급여 등도 점진적으로 보수 기준으로 통일
📌 기대 효과는?
- ✅ 고용보험 사각지대 축소
- ✅ 저소득·단기근로자 보호 강화
- ✅ 기업의 행정부담 경감
- ✅ 실시간 소득정보 기반 일자리 지원 가능
📅 이후 일정은?
구분 일정
입법예고 | ~ 2025년 8월 중순까지 |
국회 제출 | 2025년 10월 예정 |
제도시행 목표 | 2026년 이후 순차 적용 |
반응형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2차 추경 31.8조 원 국회 통과! 전 국민 소비쿠폰 1차 선지급 시작 (0) | 2025.07.05 |
---|---|
이공계 대학원생에 매달 최대 110만 원…‘연구생활장려금’ 본격 지급 (0) | 2025.07.02 |
K-드론배송, 전국 166곳으로 확대…섬·공원·갯벌까지 생필품·먹거리 배달 (0) | 2025.07.01 |
6억 원 초과 주담대 제한…28일부터 수도권·규제지역 대출 규제 강화 (0) | 2025.06.29 |
정부, 역대 최대 ‘14억 유로’ 외평채 발행 성공…투자자 주문 190억 유로 몰려 (0) | 2025.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