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이공계 대학원생에 매달 최대 110만 원…‘연구생활장려금’ 본격 지급

by 올리버대디 2025. 7. 2.
반응형

이공계 대학원

2025년부터 이공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월 최대 110만 원을 지급하는 ‘연구생활장려금’ 제도가 시작됐습니다. 상반기 29개 대학 참여, 하반기 추가 모집 중입니다.


🧪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최소생활비’ 보장…드디어 지급 시작!

2025년부터 정부는 이공계 대학원생이 경제적 걱정 없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석사 80만 원, 박사 110만 원 정액 지원!
9년간 총 9790억 원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


📅 상반기 성과 요약

  • 참여대학: 29개교 선정 (예: 연세대, 부산대 등)
  • 지급 시작: 2025년 6월 말부터 장려금 지급 개시
  • 지급 대상:5만 명의 이공계 대학원생
  • 운영단계: 컨설팅 완료 대학(14개교)은 지급 중, 나머지도 순차 시작 예정

💰 지원금액 요약표

학위 과정 월 지급 금액 비고

석사 80만 원 장학금 외 별도 지급
박사 110만 원 인건비와는 별개 지급

※ 국비지원 / 9년간(2025~2033년) 운영 예정


 

🏫 하반기 신규 참여대학 공모 진행 중

항목 내용

공모 기간 6월 20일 ~ **7월 21일(일)**까지
신청 접수 7월 1일부터 가능
공모 방식 요건검토 → 선정평가 (2단계)
공모 확인처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 (https://www.nrf.re.kr)

🏗 제도개선도 병행 추진

현재 연구비 지급은 대학마다 다르고 절차도 복잡함.

정부는 연구실과 학생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도개선을 추진 중:

  • 학생인건비 통합관리 표준모델 개발
  • 대학·산단 실무자 편의성 향상
  • 위기연구실 대응 프로토콜 정착

🔍 제도의 핵심 취지

“과거 파편화된 지원 → 대학 통합 관리체계로 전환”
– 홍순정 과기정통부 미래인재정책국장

  • 대학 차원에서 전일제 이공계 대학원생을 체계적으로 지원
  • 정부-대학 공동 책임 아래 도전적 연구문화 확산 기대

📞 문의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래인재양성과
    ☎ 044-202-4839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체계도(이미지=과기정통부 제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