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대폭인 6.51% 상승해 4인 가구 기준 649만 원으로 책정됐습니다. 생계급여, 의료급여 등 수급 조건도 개선되며 약 4만 명 추가 혜택 예상됩니다.
💡 내년 기준 중위소득 얼마나 오르나?
보건복지부는 제77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를 통해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을 확정했습니다. 이는 각종 복지제도의 수급 기준이 되는 중요한 수치로, 내년에도 역대 최대 인상률을 기록했습니다.
구분 2025년 2026년 인상률
1인 가구 | 2,392,013원 | 2,564,238원 | +7.20% |
4인 가구 | 6,097,629원 | 6,494,738원 | +6.51% |
📌 기준 중위소득이란?
대한민국 전체 가구의 소득 분포에서 정확히 중간에 해당하는 값으로, 복지 대상자 선정 기준이 됩니다.
📊 복지급여 선정기준은 동일 유지
급여명 선정기준 (중위소득 대비) 변경사항
생계급여 | 32% | 유지 |
의료급여 | 40% | 유지 |
주거급여 | 48% | 유지 |
교육급여 | 50% | 유지 |
💸 생계급여 인상 내용
가구원 수 2025년 기준 2026년 기준 인상폭
1인 가구 | 765,444원 | 820,556원 | +55,112원 |
4인 가구 | 1,951,287원 | 2,078,316원 | +127,029원 |
💬 약 4만 명이 새로 생계급여 대상자로 편입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제도 개선 핵심 포인트
- 청년층 근로소득 공제 확대: 자립 촉진
- 자동차 재산기준 완화: 승합차, 화물차 및 다자녀 가구 우대
- 정신질환 치료비 부담 경감: 항정신병 장기 주사제 본인부담률 → 5% → 2%
🏘️ 주거급여·교육급여도 업그레이드
- 주거급여: 임대료 기준 1.7만~3.9만 원 인상 (급지·가구원별 차등)
- 교육급여: 교육활동지원비 평균 6% 인상
🧾 정리 요약
✅ 기준 중위소득 인상
✅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기준 유지
✅ 청년·다자녀·정신질환자 등 취약층 제도 개선
✅ 약 4만 명 수급자 증가 기대
📞 문의처
- 보건복지부 기초생활보장과
☎ 044-202-3066
반응형
'사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세 유아 무상교육·보육 본격 지원! 7월부터 전국 28만 명 대상 혜택 (0) | 2025.07.29 |
---|---|
2033년 개통 목표! 평택-시흥 고속도로 왕복 8차로 확장 추진…국내 첫 개량운영형 민자사업 (0) | 2025.07.27 |
여름철 물놀이 익수사고, 특히 어린이·고령층 주의가 필요합니다! 🏊♀️🚫 (0) | 2025.07.25 |
💰 임금체불 근로자 위한 융자금리 1%! 3개월 한시 인하 (0) | 2025.07.08 |
2시간마다 20분 이상 ‘강제 휴식’ 의무화…고용노동부 현장 점검 나선다 (0) | 202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