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 [2025 통신보안 이슈] SKT 침해사고 조사 결과 발표…"단말기 고유식별번호(IMEI) 유출은 없다!"

by 올리버대디 2025. 4. 29.
반응형

통신보안

 

 

 

SKT 해킹사고, 걱정되셨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민관합동조사단의 1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IMEI(단말기 고유식별번호)는 유출되지 않음
유심복제에 악용 가능한 정보 일부 유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시 '심스와핑' 차단 가능


📊 SKT 침해사고 1차 조사 요약

항목 내용

📅 조사 기간 2025년 4월 22일 ~ 4월 28일 (1주간)
🏢 조사단 과기정통부 + 민간 보안 전문가 합동
🧾 유출된 정보 가입자 번호, IMSI 등 총 25종
→ IMEI(단말기 고유식별번호)는 유출 안 됨  
🔒 복제 방지 수단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시 차단 가능
🦠 악성코드 발견 ‘BPFDoor’ 계열 4종 (백도어 악성코드)
🔧 후속 조치 유심 무상교체 + 서비스 예약제 전환 + 서비스 가입 전 예약도 효력 인정

📱 유심보호서비스란?

내 명의의 유심이 낯선 기기에서 접속하려 하면 자동 차단하는 기능

  • 본인이 사용하던 기기가 아닌 경우 통신 차단
  • 유심 복제·도용 시 피해 사전 차단 가능
  • SKT 직영점 또는 온라인 고객센터에서 가입 가능
  • 현재 예약 신청만 해도 가입된 것과 동일한 보호 적용

과기정통부 요청으로 즉시 시행 중!


 

🧨 'BPFDoor' 악성코드란?

  • 리눅스 기반 백도어 악성코드
  • 은밀하게 네트워크 패킷 감청 및 해커 명령 수신
  • 탐지가 어렵고 지속적 통제 가능성이 높아 위협성 매우 큼
  • 민간 기업 및 기관에 25일부터 즉시 공유됨

🔐 사용자 보호 조치 요약

조치 항목 설명

📞 유심 무상 교체 전국 SKT 매장에서 진행 중
🧾 유심보호서비스 예약만 해도 보호효과 적용, 가입 권장
🛠️ 보안 강화 유출 가능 정보 차단 및 조치 지속 중

🗨️ 과기정통부 입장

“IMEI 등 핵심 장비 정보는 유출되지 않았고,
유심보호서비스만 가입하면 심스와핑 위험도 차단할 수 있습니다.”
과기정통부 사이버침해대응과


💬 마무리 한마디
이번 SKT 해킹 사고를 계기로 통신 보안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은 필수,
정부의 지속적인 대응 상황도 함께 주시해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