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KT 해킹사고, 걱정되셨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민관합동조사단의 1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 IMEI(단말기 고유식별번호)는 유출되지 않음
✔ 유심복제에 악용 가능한 정보 일부 유출
✔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시 '심스와핑' 차단 가능
📊 SKT 침해사고 1차 조사 요약
항목 내용
📅 조사 기간 | 2025년 4월 22일 ~ 4월 28일 (1주간) |
🏢 조사단 | 과기정통부 + 민간 보안 전문가 합동 |
🧾 유출된 정보 | 가입자 번호, IMSI 등 총 25종 |
→ IMEI(단말기 고유식별번호)는 유출 안 됨 | |
🔒 복제 방지 수단 |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시 차단 가능 |
🦠 악성코드 발견 | ‘BPFDoor’ 계열 4종 (백도어 악성코드) |
🔧 후속 조치 | 유심 무상교체 + 서비스 예약제 전환 + 서비스 가입 전 예약도 효력 인정 |
📱 유심보호서비스란?
내 명의의 유심이 낯선 기기에서 접속하려 하면 자동 차단하는 기능
- 본인이 사용하던 기기가 아닌 경우 통신 차단
- 유심 복제·도용 시 피해 사전 차단 가능
- SKT 직영점 또는 온라인 고객센터에서 가입 가능
- 현재 예약 신청만 해도 가입된 것과 동일한 보호 적용
✅ 과기정통부 요청으로 즉시 시행 중!
🧨 'BPFDoor' 악성코드란?
- 리눅스 기반 백도어 악성코드
- 은밀하게 네트워크 패킷 감청 및 해커 명령 수신
- 탐지가 어렵고 지속적 통제 가능성이 높아 위협성 매우 큼
- 민간 기업 및 기관에 25일부터 즉시 공유됨
🔐 사용자 보호 조치 요약
조치 항목 설명
📞 유심 무상 교체 | 전국 SKT 매장에서 진행 중 |
🧾 유심보호서비스 | 예약만 해도 보호효과 적용, 가입 권장 |
🛠️ 보안 강화 | 유출 가능 정보 차단 및 조치 지속 중 |
🗨️ 과기정통부 입장
“IMEI 등 핵심 장비 정보는 유출되지 않았고,
유심보호서비스만 가입하면 심스와핑 위험도 차단할 수 있습니다.”
– 과기정통부 사이버침해대응과
💬 마무리 한마디
이번 SKT 해킹 사고를 계기로 통신 보안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은 필수,
정부의 지속적인 대응 상황도 함께 주시해 주세요!
반응형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 금융제도 핵심변화] “9월부터 알뜰폰 통신비도 채무조정 가능!” 서민금융법 시행령 개정안 공개 (0) | 2025.04.30 |
---|---|
🏘️ [2025 부동산 정책 이슈] 6월부터 ‘임대차계약 신고제’ 본격 시행! 과태료 부과 기준까지 총정리 (0) | 2025.04.30 |
💬 [오늘의 맞춤정책] 60세인데 연금 못 받는다면? 국민연금 반환일시금 신청하세요! (0) | 2025.04.27 |
🏡 [2025 부동산 정책 핫이슈] "2억 이하 지방주택, 취득세 중과 안 받는다!" 2025년부터 대폭 완화 (0) | 2025.04.27 |
🌊 [2025 여행 핫이슈] 5월 한정! 최대 5만 원 할인, 해양관광 패키지 지금 바로 예약하세요 (0)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