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증시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Meta)**의 1분기 깜짝 실적에 힘입어 3대 주요 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1.52% 급등, 투자심리가 확연히 개선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 뉴욕증시 마감 시황 (2025.05.01 기준)
지수 종가 변동폭(포인트) 변동률
🏛️ 다우지수 | 40,752.96 | ▲83.6 | +0.21% |
📊 S&P500 | 5,604.14 | ▲35.08 | +0.63% |
💻 나스닥 | 17,710.74 | ▲264.40 | +1.52% |
💡 시장의 주요 상승 요인
- MS·메타 실적 서프라이즈
- MS 매출: 700억 7,000만 달러 / EPS: $3.46 (예상 상회)
- 메타 매출: 423억 1,000만 달러 / EPS: $6.43 (예상 상회)
- MS +8%, 메타 +4% 급등
- 빅테크 전반 강세
- 엔비디아 +3%
- 브로드컴 +2%
- 알파벳 +1%
- 미국-중국 무역 협상 재개 가능성
- 美 정부, 관세 문제 협상 재추진
- 시장 전반 위험 선호 심리 회복
📉 기술주 반등 속 일부 업종 약세
업종 변화
의료제약 | -2% 이상 하락 |
기술 | +3% 급등 |
통신/소비재/산업/에너지 | +1%대 상승 |
📉 애플·아마존 실적 발표 후 '시간 외 하락'
- 아마존: 매출 $1,556.7억 / EPS $1.59 (예상 상회)
→ 2분기 가이던스 실망감으로 시간 외 주가 하락 - 애플: 매출 $953.6억 / EPS $1.65 (예상 상회)
→ 실적 이후 주가 4% 이상 하락
📌 기타 주요 이슈
항목 내용
🇺🇸 미국 제조업 PMI | 48.7 (2개월 연속 위축, 그러나 예상치 48 상회) |
🧾 신규 실업수당 청구 | 24만1천건 (전주 대비 1.8만 증가) |
💸 연속 실업수당 청구 | 191만6천건 (2021년 이후 최고치) |
📉 금리 전망 변화 | 6월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 ↑ (42.3%) |
✍️ 마무리 코멘트
AI와 클라우드 산업의 탄탄한 성장성, 그리고 미국-중국 간 관계개선 기대감이 투자심리를 다시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다만 고용지표의 둔화와 애플·아마존 실적 후 주가 하락은 아직 경계심이 남아있다는 신호이기도 합니다.
빅테크 위주의 상승 랠리가 이어질 수 있을지, 다음 주 FOMC 의사록 공개와 경제지표 흐름을 예의주시해야 할 시점입니다.
반응형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조 9067억 원 AI 추경 확정…GPU 1만 장 확보·초거대 AI 모델 육성 본격화 (0) | 2025.05.03 |
---|---|
💰 아이의 미래에 씨앗을 심자! ‘디딤씨앗통장(아동발달지원계좌)’ 완전정복 (0) | 2025.05.02 |
🏚 [2025 주거정책 핵심] 전국 빈집, 국가가 직접 관리한다! ‘빈집 관리 종합계획’ 발표 (0) | 2025.05.02 |
📈 [2025 정책 개편] 중소기업 매출 기준 10년 만에 상향! 573만 기업, 세제·지원 혜택 유지 확정 (0) | 2025.05.01 |
🏠 [2025 주거정책 핵심] 빌라·다세대도 안심 거주! 전세임대형 든든주택 지원방법 안내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