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매출이 늘었다고 더는 중소기업 혜택에서 밀려나지 않습니다!”
2025년 5월, 중소벤처기업부가 10년 만에 중소기업 매출 기준을 전면 상향하며
573만 개 기업의 세제감면, 정부 지원사업 혜택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치했습니다.
📊 주요 개편 내용 한눈에 보기
구분 변경 전 변경 후
🔹 중소기업 매출 기준 | 최대 1500억 원 | 최대 1800억 원 |
🔹 소기업 매출 기준 (소상공인 기준) | 최대 120억 원 | 최대 140억 원 |
🔹 업종별 매출 기준 구간 | 중기업: 5개 → 7개소기업: 5개 → 9개 | |
🔹 적용 기업 수 | 중기업 6.3만 + 소기업 566.7만 = 총 573만 개 | |
📅 시행 시점 | 2025년 9월 예정 (입법예고 후) |
🧠 왜 바꾸게 되었을까?
- 기존 기준은 2015년 설정, 10년간 물가 상승률 반영 부족
- 원가 인상·공급 구조 변화 등으로 매출만 증가, 실질 이익은 변동 없음
- 중소기업 졸업 시 세제감면·공공조달 등 혜택 상실
✅ 성장 중인 기업들이 제도 밖으로 밀려나는 부작용 해소
🔍 업종별 특수성도 고려
- 1차금속 제조업: LME 가격 60% 이상 상승 → 원가 부담 고려
- 자동차 산업: 모듈화 생산방식 변화로 매출 증가, 수익성은 비슷
- 업계 요구사항 반영 + KDI·학계 자문 통해 과학적 기준 마련
💼 기업 입장에서 어떤 변화가?
항목 개편 전 개편 후
세제 감면 | 졸업 시 상실 | 기준 완화로 유지 가능 |
정책자금·보조금 | 중기 대상 사업 제외 가능 | 지속 참여 가능 |
정부조달 기회 | 탈락 시 제외 | 지위 유지로 참여 보장 |
🧾 법적 절차 및 일정
- 5월: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 6~8월: 기업 확인 시스템 개편
- 9월 시행 예정: 적용 업종별 기준 반영하여 시스템 자동 판별
✅ 온라인 중소기업확인시스템에서도 기준 변경 후 자동 적용 예정
🗨️ 중기부 발표 요약
“물가상승 따른 중기 졸업 문제 해소로
소규모 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사다리를 마련했습니다.”
–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 마무리 한마디
단순한 물가 상승으로 중기 혜택을 잃던 시대는 끝났습니다.
이제는 실질 성장을 중심으로 기업지위를 판별,
중소기업이 오래 안심하고 성장할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졌습니다.
반응형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S·메타 효과! 빅테크 호실적에 나스닥 급등, 뉴욕증시 3대 지수 동반 상승 (0) | 2025.05.02 |
---|---|
🏚 [2025 주거정책 핵심] 전국 빈집, 국가가 직접 관리한다! ‘빈집 관리 종합계획’ 발표 (0) | 2025.05.02 |
🏠 [2025 주거정책 핵심] 빌라·다세대도 안심 거주! 전세임대형 든든주택 지원방법 안내 (0) | 2025.05.01 |
💳 [2025 금융제도 핵심변화] “9월부터 알뜰폰 통신비도 채무조정 가능!” 서민금융법 시행령 개정안 공개 (0) | 2025.04.30 |
🏘️ [2025 부동산 정책 이슈] 6월부터 ‘임대차계약 신고제’ 본격 시행! 과태료 부과 기준까지 총정리 (0)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