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 [2025 정책 개편] 중소기업 매출 기준 10년 만에 상향! 573만 기업, 세제·지원 혜택 유지 확정

by 올리버대디 2025. 5. 1.
반응형

중소기업혜택

 

 

“매출이 늘었다고 더는 중소기업 혜택에서 밀려나지 않습니다!”
2025년 5월, 중소벤처기업부가 10년 만에 중소기업 매출 기준을 전면 상향하며
573만 개 기업의 세제감면, 정부 지원사업 혜택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치했습니다.


📊 주요 개편 내용 한눈에 보기

구분 변경 전 변경 후

🔹 중소기업 매출 기준 최대 1500억 원 최대 1800억 원
🔹 소기업 매출 기준 (소상공인 기준) 최대 120억 원 최대 140억 원
🔹 업종별 매출 기준 구간 중기업: 5개 → 7개소기업: 5개 → 9개  
🔹 적용 기업 수 중기업 6.3만 + 소기업 566.7만 = 총 573만 개  
📅 시행 시점 2025년 9월 예정 (입법예고 후)  

🧠 왜 바꾸게 되었을까?

  • 기존 기준은 2015년 설정, 10년간 물가 상승률 반영 부족
  • 원가 인상·공급 구조 변화 등으로 매출만 증가, 실질 이익은 변동 없음
  • 중소기업 졸업 시 세제감면·공공조달 등 혜택 상실

✅ 성장 중인 기업들이 제도 밖으로 밀려나는 부작용 해소


 

🔍 업종별 특수성도 고려

  • 1차금속 제조업: LME 가격 60% 이상 상승 → 원가 부담 고려
  • 자동차 산업: 모듈화 생산방식 변화로 매출 증가, 수익성은 비슷
  • 업계 요구사항 반영 + KDI·학계 자문 통해 과학적 기준 마련

💼 기업 입장에서 어떤 변화가?

항목 개편 전 개편 후

세제 감면 졸업 시 상실 기준 완화로 유지 가능
정책자금·보조금 중기 대상 사업 제외 가능 지속 참여 가능
정부조달 기회 탈락 시 제외 지위 유지로 참여 보장

🧾 법적 절차 및 일정

  • 5월: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 6~8월: 기업 확인 시스템 개편
  • 9월 시행 예정: 적용 업종별 기준 반영하여 시스템 자동 판별

✅ 온라인 중소기업확인시스템에서도 기준 변경 후 자동 적용 예정


🗨️ 중기부 발표 요약

“물가상승 따른 중기 졸업 문제 해소로
소규모 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사다리를 마련했습니다.”
–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 마무리 한마디
단순한 물가 상승으로 중기 혜택을 잃던 시대는 끝났습니다.
이제는 실질 성장을 중심으로 기업지위를 판별,
중소기업이 오래 안심하고 성장할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졌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