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조 9067억 원 AI 추경 확정…GPU 1만 장 확보·초거대 AI 모델 육성 본격화
🔍 정부, 왜 AI에 2조 가까운 예산을 투입하나?
AI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산업, 사회, 안보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게임 체인저’로 자리 잡았습니다.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이 AI 패권 경쟁에 나서는 가운데, 한국도 글로벌 3대 AI 강국 진입을 목표로 **역대 최대 규모의 AI 추가경정예산(추경)**을 단행했습니다.
2025년 5월 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이 예산안은 기존 정부안보다 618억 원 증가한 총 1조 9067억 원 규모입니다.
💻 핵심 투자 분야 1: AI 컴퓨팅 인프라 확대
- 1조 6341억 원 투입, 첨단 GPU 1만 장 연내 확보
- 민간 보유 GPU 3000장 임차 지원
- 국내 AI 개발자 및 스타트업에 실질적 혜택 기대
한국은 AI를 연구하고 싶어도 **컴퓨팅 자원이 부족한 ‘GPU 가뭄’**이 발목을 잡고 있었는데, 이번 대규모 투자는 그 해소를 목표로 합니다.
🔧 핵심 투자 분야 2: 국산 AI 반도체(NPU) 실증 지원 확대
- 실증 예산 417억 → 871억 원으로 대폭 확대
- 국내 유망 NPU 기업이 상용화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골든타임 집중 투자
🌐 핵심 투자 분야 3: 한국판 GPT – ‘WBL 프로젝트’ 가동
- ‘World Best LLM’ 프로젝트, 총 2136억 원 규모
- 국내 정예 5개 팀 선발 → 3년간 GPU, 데이터, 인력 전폭 지원
- 민간 보유 GPU 임차 활용 + 데이터 가공 및 활용비도 국가가 지원
🧠 핵심 투자 분야 4: AI 인재 유치 및 양성
- ‘AI Pathfinder 프로젝트’ → 해외 석학 1인당 연 최대 20억 원 지원
- 유치된 인재는 WBL 프로젝트팀에 배치
- 글로벌 AI 챌린지 대회 개최(150억 원 규모)
- 국내외 박사후연구원 400명에 고급 처우 제공
🚀 산업화 및 포용 전략도 함께 추진
분야 내용
AI 스타트업 | AI혁신펀드 1000억 원 규모 증액, 연구소기업 기술 사업화 지원 |
디지털 포용 | 키오스크 접근성 확대 등 배리어프리 AI 기술 보급에 92억 원 투자 |
📊 한눈에 보는 AI 추경 정리
구분 예산 (억 원) 주요 내용
컴퓨팅 인프라 | 16,341 | GPU 1만 장 확보, 3천 장 임차 |
LLM 개발(WBL) | 2,136 | 5개팀 지원, GPU·데이터 집중 지원 |
NPU 실증 | 871 | 국산 AI반도체 실증 및 상용화 |
인재 유치·양성 | 150+ | 글로벌 챌린지·박사후 연구원 400명 |
스타트업 지원 | 1,000+100 | AI펀드 증액, 기술사업화 지원 |
디지털 포용 | 92 |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기술 개발 |
✍️ 마무리: 단순한 ‘예산 집행’이 아닌 ‘국가 전략’
이번 AI 추경은 단순한 기술 투자라기보다는, 미래 먹거리와 주권 기술 확보를 위한 국가 전략으로 읽히는 결정입니다. 인프라 → 모델 개발 → 인재 → 산업화로 이어지는 구조적 로드맵 속에서, 한국판 GPT의 현실화와 AI 생태계 확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유심보호서비스 가입하세요”…해킹 피해 시 100% 보상 (0) | 2025.05.03 |
---|---|
💰 아이의 미래에 씨앗을 심자! ‘디딤씨앗통장(아동발달지원계좌)’ 완전정복 (0) | 2025.05.02 |
📈 MS·메타 효과! 빅테크 호실적에 나스닥 급등, 뉴욕증시 3대 지수 동반 상승 (0) | 2025.05.02 |
🏚 [2025 주거정책 핵심] 전국 빈집, 국가가 직접 관리한다! ‘빈집 관리 종합계획’ 발표 (0) | 2025.05.02 |
📈 [2025 정책 개편] 중소기업 매출 기준 10년 만에 상향! 573만 기업, 세제·지원 혜택 유지 확정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