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세 대란 재현?
전세 품귀 + 입주물량 부족 + 대출 규제로
수도권 세입자들의 눈물겨운 선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수도권 전세 매물, 1년 새 21% 줄었다
최근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2025년 4월 기준 수도권 전세 매물은 6만380건,
이는 1년 전보다 21.2% 감소한 수치입니다.
지역 전세 매물 감소율
서울 | ▼ 8.7% |
경기 | ▼ 31.7% |
송파구 헬리오시티 | ▼ 40.5% |
특히 서울과 경기도 대단지 아파트 중심으로 매물 부족이 심화되고 있어요.
🧭 왜 전세가 줄고 있나?
전세 물량 감소의 원인은 크게 4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증가
4년까지 같은 집에 살 수 있어 신규 전세 매물 잠김 현상 발생
2. 입주 물량 감소
서울 신규 입주 물량이 수요 대비 71%에 불과
→ 향후 3년간 수도권 입주 예정 물량도 43% 급감
3. 전세 대출 규제 강화
갭투자 차단 정책으로 임대인·임차인 모두 대출 어렵게 됨
4. 전세사기 트라우마
오피스텔·빌라 회피, 아파트 전세 수요 집중
📈 전셋값은 계속 오른다
시기 전세가격지수 상승률 (수도권)
2024.03 | ▲ 0.57% |
연속 상승 기간 | 9개월째 상승 중 |
공급은 줄고 수요는 몰리니, 전셋값은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 규제는 계속된다…세입자 부담은?
올해와 내년 예정된 임대차 관련 규제 강화도 임차인 부담을 가중시킬 전망입니다.
항목 내용
전월세신고제 | 6월 시행 예정, 지자체 신고 의무화 |
간주임대료 과세 확대 | 2주택자도 세금 부과 대상 포함 |
보증 비율 하향 (HUG) | 은행 보증 90%로 축소 |
보증보험료율 인상 | 전세금반환보증 보험료 상승 |
대출 심사 강화 | 임차인의 상환 능력 평가 포함 |
🙋 세입자의 선택은?
서울 마포구 세입자 인터뷰:
“보증금은 못 올리겠고, 월세 20만원을 더 내기로 했어요.
전세 대출도 안 되고, 선택지가 없었어요.”
→ 이런 식의 반전세·월세 전환이 확산되고 있어,
전세가 점점 ‘월세 시대’로 변모 중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 해결책은?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공급 확대를 강조합니다:
- 민간 임대사업자 혜택 부활
- 공공임대 확대
- 공공매입임대 도입
- 대출 규제 완화 고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
“전세시장 안정은 공급이 해답이다.
규제가 아닌 ‘유인’이 필요한 시점이다.”
✍️ 마무리 한 줄
선택의 여지가 없어진 전세시장,
세입자의 눈물은 이제 우리 사회가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반응형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손 부족 걱정 끝!” 2025 농번기 인력 지원 대책 총정리 (0) | 2025.04.21 |
---|---|
주유소 휘발유 11주 연속 하락…국제 유가는 반등? 유가 흐름이 바뀌고 있다 (0) | 2025.04.19 |
보험료 없이 보험이 된다? 시민안전보험으로 만드는 ‘든든한 일상’ (0) | 2025.04.18 |
한국, 공적개발원조 39.4억 달러로 ‘글로벌 책임국가’ 위상 강화! (0) | 2025.04.17 |
청년 일자리, 단계별 맞춤 지원 강화! “재학-구직-재직 全과정 케어한다”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