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치솟는 월세... 씨 마른 수도권 전세, 어디까지 갈까?

by 올리버대디 2025. 4. 18.
반응형

월세대란

전세 대란 재현?
전세 품귀 + 입주물량 부족 + 대출 규제로
수도권 세입자들의 눈물겨운 선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수도권 전세 매물, 1년 새 21% 줄었다

최근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2025년 4월 기준 수도권 전세 매물은 6만380건,
이는 1년 전보다 21.2% 감소한 수치입니다.

지역 전세 매물 감소율

서울 ▼ 8.7%
경기 ▼ 31.7%
송파구 헬리오시티 ▼ 40.5%

특히 서울과 경기도 대단지 아파트 중심으로 매물 부족이 심화되고 있어요.


🧭 왜 전세가 줄고 있나?

전세 물량 감소의 원인은 크게 4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증가

4년까지 같은 집에 살 수 있어 신규 전세 매물 잠김 현상 발생

2. 입주 물량 감소

서울 신규 입주 물량이 수요 대비 71%에 불과
→ 향후 3년간 수도권 입주 예정 물량도 43% 급감

3. 전세 대출 규제 강화

갭투자 차단 정책으로 임대인·임차인 모두 대출 어렵게 됨

4. 전세사기 트라우마

오피스텔·빌라 회피, 아파트 전세 수요 집중


 

📈 전셋값은 계속 오른다

시기 전세가격지수 상승률 (수도권)

2024.03 ▲ 0.57%
연속 상승 기간 9개월째 상승 중

공급은 줄고 수요는 몰리니, 전셋값은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 규제는 계속된다…세입자 부담은?

올해와 내년 예정된 임대차 관련 규제 강화도 임차인 부담을 가중시킬 전망입니다.

항목 내용

전월세신고제 6월 시행 예정, 지자체 신고 의무화
간주임대료 과세 확대 2주택자도 세금 부과 대상 포함
보증 비율 하향 (HUG) 은행 보증 90%로 축소
보증보험료율 인상 전세금반환보증 보험료 상승
대출 심사 강화 임차인의 상환 능력 평가 포함

🙋 세입자의 선택은?

서울 마포구 세입자 인터뷰:

“보증금은 못 올리겠고, 월세 20만원을 더 내기로 했어요.
전세 대출도 안 되고, 선택지가 없었어요.”

→ 이런 식의 반전세·월세 전환이 확산되고 있어,
전세가 점점 ‘월세 시대’로 변모 중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 해결책은?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공급 확대를 강조합니다:

  • 민간 임대사업자 혜택 부활
  • 공공임대 확대
  • 공공매입임대 도입
  • 대출 규제 완화 고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

“전세시장 안정은 공급이 해답이다.
규제가 아닌 ‘유인’이 필요한 시점이다.”


✍️ 마무리 한 줄

선택의 여지가 없어진 전세시장,
세입자의 눈물은 이제 우리 사회가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