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곤충산업, 민관이 함께 키운다! ‘그린바이오 곤충산업 협의체’ 발족

by 올리버대디 2025. 4. 11.
반응형

곤충산업

 

 

농촌진흥청농림축산식품부, 그리고 민간 전문가들이 손을 맞잡았습니다.
2025년 4월 9일, ‘그린바이오 곤충산업 활성화 민관협의체’가 공식 출범하며
곤충산업 거점단지의 성공적인 조성산업 활성화를 위한 민관 상생의 새로운 시작을 알렸습니다.


🌱 왜 지금 ‘곤충산업’인가?

항목 내용

📈 성장잠재력 식품, 의약, 사료, 바이오소재 등 활용처 다양
🏭 산업 인프라 곤충산업 거점단지 3곳 구축 중 (춘천, 예천, 남원)
🧪 기술연계 농촌진흥청 R&D, 지자체 전략, 산업체 수요 등 유기적 협업 가능
⚖️ 제도 기반 2025년 1월 시행 ‘그린바이오산업법’, ‘곤충산업법’ 등 제도적 뒷받침

🏢 곤충산업 민관협의체 구성 현황

구성팀명 주요 기능

정책지원팀 거점단지 활용을 위한 법·정책적 지원 방향 수립
기술보급팀 표준사육법, 병해충 관리 기술 등 현장 기술 이전
품종육성·보급팀 우량 곤충 품종 개발 및 보급 확대
병해충·사육관리팀 생물안전, 질병방지 기반 마련
가공·소재팀 제품화,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 추진
산업연계팀 산업체·농가 간 상생 모델 기획 및 유통 전략 공유

🧑‍🔬 총 6개 팀, 39명으로 구성 / 농진청, 농식품부, 지자체, 민간 전문가 등 참여


🏗️ 곤충산업 거점단지 3대 프로젝트

지역 추진 현황 예산(국+지방) 중점 방향

강원 춘천 2025년 준공 예정 200억 원 곤충 스마트팩토리 거점
경북 예천 2025년 착공 200억 원 곤충 가공·제품화 중심
전북 남원 2025년 설계 250억 원 곤충 전처리·가공 중심

🧩 향후 총 4개 거점단지 조성 목표 (2027년까지)


🗣️ 협의체 발족식 주요 논의 내용

  • 🧬 곤충소재의 의학적 효과 분석 (원광대 김민선 교수)
  • 🏗️ 강원도 거점단지 추진 현황 공유
  • 🧪 산업곤충 품종 육성 방향 제시
  • 💬 민관 상생 발전 전략 종합 토론

🧭 앞으로의 계획

✔️ 분기별 정기회의 + 수시 소통체계 운영
✔️ 민관 역할분담 강화기술-R&D 연계 가속화
✔️ 곤충산업의 시장화 및 대중화를 위한 종합 전략 수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