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모처럼 강한 반등세를 보였습니다. 소비자 심리 악화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저가 매수 기회를 잡으며 시장을 끌어올렸는데요!
나스닥은 2.61% 상승, S&P500과 다우지수도 각각 2.13%, 1.65% 상승하며 3대 지수가 모두 급등 마감했습니다.
📌 뉴욕증시 마감 시황 (3월 14일 기준)
📈 다우존스: +674.62포인트(+1.65%) → 41,488.19
📈 S&P500: +117.42포인트(+2.13%) → 5,638.94
📈 나스닥: +451.08포인트(+2.61%) → 17,754.09
지난 7일 이후 처음으로 3대 지수가 동반 상승했어요. 나스닥과 S&P500이 먼저 반등했지만 다우지수는 조정을 받았었는데, 이번에는 다우까지 강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 소비자 심리 악화에도 시장 반등! 이유는?
사실 이날 발표된 **미국 소비자심리지수(미시간대 조사)**는 예상보다 크게 하락하며 시장을 흔들 수도 있었어요.
🔻 3월 소비자심리지수(예비치): 57.9 (전월 64.7 대비 급락, 예상치 63.1도 하회)
🔻 전년 동월 대비 27.1% 급락 → 2022년 11월 이후 최저치!
올해 들어 소비 심리는 급격히 위축되고 있어요.
1월(71.7) → 2월(64.7) → 3월(57.9)
불과 두 달 만에 13.8포인트나 하락한 것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이를 이미 선반영된 악재로 판단하고,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했습니다.
💡 저가 매수세 유입… 기술주 강세!
📌 S&P500, 나스닥 조정 후 반등
- S&P500 지수는 2월 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 후 반등
- 나스닥은 12% 이상 조정받은 뒤 상승세 전환
📌 기술주(M7) 전반적으로 강세
- 엔비디아(NVDA) +5.27% 🚀
- 마이크로소프트(MSFT), 아마존(AMZN), 애플(AAPL), 메타(META), 알파벳(GOOGL) 모두 2% 안팎 상승
- 테슬라(TSLA) +3.86% (최근 급락 후 반등)
📌 반도체주 상승 🔺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3.27%
- 마이크론(MU) +6.23%, ARM +5.26%
- TSMC, ASML, AMD 등 2% 안팎 상승
📌 실적 호조로 개별 종목 급등
- 도큐사인(DOCU) +15% (예상보다 좋은 실적)
- 루브릭(RBRK) +26% (손실 축소 및 긍정적인 실적 전망)
💰 금리 인하 기대감은 낮아져… 변동성은 지속될 가능성
📉 연준의 6월 금리 인하 가능성 하락
- 6월까지 50bp 인하 가능성: 20% (전일 24.5%에서 감소)
- 동결 가능성: 22.5%로 증가
📉 시카고옵션거래소 변동성지수(VIX) 하락
- VIX -11.71% (21.77 기록) → 투자 심리 일부 회복
💡 전문가들은 "단기 반등에도 변동성이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며, 향후 발표될 경제 지표와 정책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 향후 시장 전망
✅ 저가 매수세가 지속될까?
-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 유입
- 소비 심리 둔화 우려에도 시장은 반등
✅ 연준 금리 정책 주목
- 금리 동결 가능성 증가, 하지만 인하 기대는 여전히 살아 있음
✅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 가능성
- 관세 관련 불확실성 해소 여부가 중요
향후 시장 흐름을 결정할 핵심 변수는 소비 심리 회복 여부와 연준의 금리 정책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미국 증시, 변동성 속에서도 반등 흐름을 이어갈 수 있을까요?
📍 투자자들은 어떤 전략을 가져가야 할까요?
계속해서 시장의 흐름을 지켜봐야겠습니다!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부동산 시장 전망과 주요 이슈 (KB경영연구소) (0) | 2025.03.16 |
---|---|
근로자 휴가비 20만 원 지원받고 국내 여행 떠나세요 (0) | 2025.03.16 |
2025년 초·중·고 교육급여·교육비 지원 신청하세요! (0) | 2025.03.16 |
고용보험 없어도 걱정 NO! 국민취업지원제도로 든든하게 취업 준비하자 (0) | 2025.03.15 |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 분석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