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이 다시 한번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2025년 OECD 규제정책전망(Regulatory Policy Outlook)에서 한국이 규제영향분석, 사후평가, 투명성 등 주요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하며 글로벌 규제정책 선도국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했습니다.
📌 OECD 규제정책전망이란?
OECD는 2015년부터 3년마다 회원국들의 규제정책을 평가하고 우수사례를 소개하는 『Regulatory Policy Outlook』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2021~2023년의 정책들을 기준으로, 38개 OECD 회원국의 규제정책을 다음 3가지 분야에서 평가했습니다:
평가 항목 내용
규제영향분석 (RIA) | 새로운 규제 도입 전, 경제·사회적 영향을 예측하고 분석 |
사후평가 (Ex-post Evaluation) | 시행 중인 규제의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 여부 판단 |
이해관계자 참여 | 규제 제정 및 개정 과정에서 시민·기업 등 이해당사자의 의견 수렴 |
🇰🇷 한국, 전 분야에서 선도적 성과
이번 iREG 평가에서 한국은 아래와 같은 눈부신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 규제영향분석 1위
✅ 사후평가 1위
✅ 투명성 부문 최초 평가에서 1위
이는 그간의 규제혁신전략회의, 규제혁신추진단 등 정부의 체계적인 규제혁신 노력의 결실로 평가됩니다.
2022년 5월 이후, 총 2,900여 건의 규제 개선 완료,
약 148조 원의 경제적 효과 예상!
🌐 국제 협력 확대… 한국 규제정책의 글로벌 수출
한국은 이번 기회를 통해 국제 협력을 더욱 확대할 계획입니다.
- OECD와 규제협력 MoU 체결 예정
- 동남아시아 협력체(GRPN) 참여
- 중남미 공무원 초청, 규제정책 전수 프로그램 운영
국무조정실 남형기 국무2차장은 “한국의 우수한 규제제도를 전 세계에 공유할 수 있도록 국제 협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 참고 링크
📣 결론
한국은 이제 단순한 기술 강국이 아니라, 규제정책에서도 글로벌 표준을 제시하는 국가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한국의 규제정책 모델이 개도국은 물론 선진국에도 벤치마킹 대상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 경영 무료 컨설팅! 2025년 환경부 지원사업 공모 시작 (0) | 2025.04.10 |
---|---|
2025년 SW 고성장클럽 발표! AI·SaaS 중심 유망기업 72개사 선정 (0) | 2025.04.09 |
2025년 수출 중소기업 물류비 60% 절감? 정부 지원사업 총정리! (0) | 2025.04.09 |
2024년 딥테크 벤처투자, 3.6조 돌파! 가장 뜬 분야는? (0) | 2025.04.08 |
공공배달 통합포털 오픈! 민간보다 저렴한 배달앱, 지금 할인쿠폰도 받자! (0) | 2025.04.08 |